새마을 운동 관련 노래
새마을 운동과 관련된 노래를 정리한 것이다.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대통령의 임직 초기에 시작한 운동으로 기존의 농촌을 개혁하려는 의지에서 시작된 것이다. 저 때만 해도 박정희 나름 멋있었는데... 참 권력이 무섭다. 결국 온갖.. 하여튼 사람은 초지일관해야 한다. 처음 마음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은 것이다.
대한민국 새마을운동이란?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 대한민국에서 시작된 국가 주도의 농촌 근대화 운동으로, 경제 개발과 생활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한 국민 참여형 사회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박정희 대통령의 주도로 1970년 4월 22일 공식적으로 출범하였으며, "잘 살아보세"라는 구호 아래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새마을운동은 농촌뿐만 아니라 도시, 공장, 학교, 심지어 해외 교포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새마을운동의 배경
1960년대 대한민국은 전쟁의 폐허에서 벗어나 산업화를 추진하고 있었지만, 농촌 지역은 여전히 빈곤과 낙후된 생활 환경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정부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공업화를 촉진했지만, 농촌과 도시 간의 격차가 심화되면서 농촌 문제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농촌 개발과 국민 의식 개혁을 통한 자립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새마을운동이 시작되었다.
새마을운동의 목표와 특징
새마을운동의 기본 정신은 "근면, 자조, 협동"으로, 이를 통해 국민들이 스스로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경제적 자립을 이루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표였다. 운동 초기에는 정부가 33,000개 마을에 시범적으로 시멘트와 철근을 지원하면서 주민들의 자발적 노력을 독려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이후 마을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도로를 정비하고, 주택을 개량하며,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였다.
주요 성과
- 농촌 생활환경 개선: 초가집을 슬레이트 지붕으로 개량하고, 마을 도로를 정비하며, 공동우물을 설치하는 등의 사업이 이루어졌다.
- 소득 증대 사업: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품종 개량, 영농 기술 보급, 협동조합 운영 등이 이루어졌으며,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축산업과 공예품 생산 등의 부업이 장려되었다.
- 국민 의식 변화: 근면과 자조 정신을 강조하면서 국민들이 스스로 노력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비판과 한계
새마을운동은 대한민국의 농촌 경제와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첫째, 국가 주도의 강제적인 운동으로 진행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보다는 정부의 지시에 따른 부담감이 컸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둘째, 산업화 과정에서 농촌을 떠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농촌 공동체 유지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셋째, 1980년대 이후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새마을운동이 초기의 동력을 잃고 점차 약화되었다.
결론
새마을운동은 대한민국의 농촌 근대화와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국제적으로도 성공적인 개발 모델로 평가받는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를 벤치마킹하여 자체적인 지역 개발 운동을 추진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단순한 경제 발전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성장과 공동체 회복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마을운동의 경험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적용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제 새마을 운동 관련 노래를 정리해 봅니다.
새마을 노래
박정희 작사 박정희 작곡
새마을운동은 1972년 4월 21일 박정희가 작사하고 작곡한 노래로 알려져 있지만 그렇지 않다. 박정희가 주도한 것이지 직접 작사 작곡한 것이 아니다. 시인 이은상이 감수했다고 알려져 있다.
[가사]
1절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너도나도 일어나 새 마을을 가꾸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2절
초가집도 없애고 마을길도 넓히고
푸른 동산 만들어 알뜰살뜰 다듬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3절
서로서로 도와서 땀 흘려서 일하고
소득증대 힘써서 부자마을 만드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4절
우리 모두 굳세게 싸우면서 일하고
일하면서 싸워서 새 조국을 만드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
잘 살아 보세
한운사 작사 김희조 작곡 블루벨즈 노래
[가사]
잘 살아 보세 잘 살아 보세
우리도 한 번 잘 살아 보세
금수나 강사 어여쁜 나라
한 마음으로 가꾸어 가면
알뜰한 살림 재미가 절로
부귀영화도 우리 것이다
잘 살아 보세 잘 살아 보세
우리도한 번 잘 살아 보세
일을 해 보세 일을 해 보세
우리도 한번 일을 해 보세
대양 너머 잘 사는 나라
하루아침에 이루어졌나
티끌을 모아 태산이라면
우리의 피땀 아낄까 보냐
잘 살아 보세 잘 살아 보세
우리도 한 번 잘 살아 보세 잘 살아 보세
뛰어가 보세 뛰어가 보세
우리도 한번 뛰어가 보세
굳게 닫혔던 나라 정문
세계를 향해 활짝 열어
좋은 일일랑 모조리 배워
뒤질까 보냐 뛰어가 보세
잘 살아 보세 잘 살아 보세
우리도 한 번 잘 살아 보세 잘 살에 보세
나의 조국
박정희 작사 박정희 작곡
백두산의 푸른정기 이 땅을 수호하고
한라산에 높은 기상이겨레 지켜왔네
무궁화꽃 피고 져도유구한 우리역사
굳세게도 살아왔네 슬기로운 우리 겨레
영롱한 아침해가 동해에 떠오르면
우람할 손 금수강산 여기는 나의 조국
조상들의 피땀 어린 빛나는 문화유산
우리 모두 정성 다해 길이길이 보전하세
삼국통일 이룩한 화랑의 옛정신을
오늘에 이어받아 새마을 정신으로
영광된 새 조국에 새 역사 창조하여
영원토록 후손에게 유산으로 물려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