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남진12

작곡가 박춘석 생애와 히트곡

박춘석 생애와 히트곡 박춘석 서울 토박이인 박춘석의 본명은 박의병이다. 어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던 그는 해방 후 재즈 피아노를 잘쳤다고 한다. 당시는 피아노가 귀해 쉽게 구경도 힘들었다. 하지만 가정이 부유했던 부모님 덕에 박춘석은 어릴 적부터 피아노를 배워 매우 능숙하게 다루었다. 길옥균의 권유로 김영순이 조직한 학생 악단에 가입해 활동한다. 1946년 경기중 4학년의 열여섯살의 소년이 미군 전용 업소였던 '황금 댄스홀'에서 피아노를 쳤다. 당대 최고의 연주자로 꼽히던 엄토미의 클라니넷, 최상용의 트럼펫 등과 호흡을 맞추었다. 본명인 의병(義秉)이지만 춘석이라는 이름은 후에 지어진 것이 아니라 어릴 적 집에서 불린 이름이었다고 한다. 매우 어릴 때부터 음악 신동이었다. 부모를 그의 천재적인 음악성을 .. 음악인 2021. 12. 7.

김포가도, 가사, 남해일-남진

김포가도 김포가도는 양화대교에서 김포공항에 이르는 약 7km의 8차선 도로이다. 1967년 남해일이 부르고, 1974년 남진이 불러 대히트를 쳤다. 가사 그렇게도 떠나기를 아쉬워한 사람을 보내고 돌아오는 김포 가도 창밖을 스쳐가는 싸늘한 바람 쌍이고 쌓였던 지난 사연 구름 속에 사라졌네 수많은 별 같은 추억을 안고 쓸쓸하게 돌아오는 밤 깊은 김포 가도 그렇게도 헤어지길 망설이는 사람을 보내고 돌아오는 김포 가도 두 눈에 아롱지는 가버린 얼굴 쌓이고 쌓였던 지난 사연 구름 속에 사라졌네 수많은 별 같은 추억을 안고 쓸쓸하게 돌아오는 밤 깊은 김포 가도 2. 해설 노래는 시대를 반영하는 법이다. 김포공항은 당시 한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었다. 1967년은 새마을 운동이 시작되는 계발 초기의 상황이다. 당시 비.. 60년대가요 2021. 10. 28.

고흥 관련 노래

고흥 관련 노래 전라남도 고흥 군과 관련된 노래 목록입니다.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노래들입니다. 고흥 개요 고흥은 전라남도에서도 외지에 속하는 지역이다. 외지라는 느낌보다는 '고립된 지역'이라고 해야 옳을 것 같다. 요즘은 4차선 자동차 전용 도로가 있어 쉽게 접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립된 지역이다. 친구가 나로도 가까운 곳에 몇이 살고 있어서 어느 정도 아는 곳이다. 타지는 크게 관심을 갖지 않는 지역이지만 고흥 사람들은 스스로 소외 또는 고립되었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그 이유는 지도를 보면 바로 알 수 있지만 섬은 아니지만 거의 섬과 같은 느낌이 강한 반도이다. 실제로 벌교에서 고흥으로 들어가면 그런 느낌이 든다. 어디까지만 진실인지 알 수 없지만 박정희때 고흥군민들에게 박정희가 말 안 들으.. 주제별가요/지역노래 2021. 8. 22.

목포 관련 노래

목포 관련 노래 목포와 관련된 노래들입니다. 순서는 가나다 순이며, 노래명/가수/발표년도 순입니다. 자료가 없는 노래는 년도를 적지 않았으면 논란이 있거나 모호하면 뒤에 ?를 넣었습니다. '목포는 항구다'라는 노래로 목포가 가진 특유의 정체성을 살필 수 있습니다. 항구 도시는 사랑과 이별, 그리고 술집과 퇴폐적 문화가 어우러진 곳입니다. 목포 역시 그러한 특징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래서 목포와 관련된 노래나 가사를 보면 '이별' '아가씨' '사랑' '눈물' 등이 버무려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60년대 유행했던 '마도로스'라는 단어가 목포 관련 노래에 한 번도 들어가지 않았다는 것은 굉장히 의아합니다. 아직 제가 모든 목포 관련 노래를 찾지 못한 때문이긴 하지만 지금까지 찾은 목포 관.. 주제별가요/지역노래 2021. 8. 5.

정두수

정두수 정두수는 1937년에 태어나 2016년 작고한 대한민국 작사가이다. 본명은 정두채이며 호는 삼포이다. 정두수는 1987년 4월 18일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평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하동에 살았지만 부산으로 유학하여 동래고등학교와 서라벌예배 문예창작과를 다닌다. 1961년 국민재건운동본부가 주최한 시 현상 공모에서 '공장'이라는 제목으로 당선된다. 1963년 '덕수궁 돌담길'로 대중가요 작사가로 데뷔한다. 이후 이미자의 '흑산도 아가씨' 남진의 '가슴 아프게' 나훈아의 '물레방아 도는데' 등 내노라하는 가수들의 대표곡들을 작사했다. 세상을 뜰 때까지 작사한 곡이 무려 3500곡에 이른다고 한다. 지역에 관련된 작사를 많이 하다보니 전국 13곳에 정두수 선생의 노래비가 세워져 있을 정도이다. .. 음악인 2021.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