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인

선우일선의 생애와 히트곡

by Ἀμφίων 2021. 6. 11.
반응형

선우일선

선우일선
선우일선(鮮于一扇)


선우일선(鮮于一扇)은 일제 강점기에 데뷔해 활동한 가수이다. 해방후 북한에서 교육인으로 활동했다. 191935일에 태어났으며, 1990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우일선은 평안남도 대동군 륭서면에서 출생했다. 어릴 적 아버지를 잃고 편모 슬하에서 자랐다. 평양의 기생학교에 들어가 교육을 받았다. 1933년 포리돌레코드 문예부장 왕평에게 발탁되어 가수로 데뷔한다. 19346월 신보에 <꽃을 잡고>를 취입하여 일약 스타 가수가 된다. 그때 당시 유명했던 왕수복과 함게 기성권번에 소속되어 있었다.

 

[가사]
김안서 작사, 이면상 작곡

하늘 하늘 봄바람이
꽃이 피면
다시 못 잊을
지낸 그 옛날지낸 세월 구름이라
잊자건만
잊을 길 없는
설운 이 내 맘
꽃을 따며 놀던 것이
어제련만
그 님은 가고
나만 외로이

 

선우일선 <꽃을 잡고)

선우일선은 성품이 온화하고 목소리가 고와 당시 유행했던 말로는 비단결 같았다고 한다. 가수생활과 기생 생활을 함께했다. 1935년 3월 28일 경성방송곡 라디오에 출현하여 전국적인 명성을 얻는다. 당시 이 라디오 중계는 일본 전국에 방송되었다고 한다.

 

-당시 신문 보도문

선우일선 양은 평양 사람, 신민요 가수로서 전선에 압도적 인기를 한몸에 지닌 방년 17세의 미인, 일본 포리도루 전속

 

이 방송에서 선우일선은 <꽃을 잡고> <무정세월> <숲 사이 물방아> <그리운 아리랑> <남포의 추억> 을 노래했다.

 

 

 

망향의 가을밤

 

 

선우일선은 왕수복과 함께 쌍벽을 이룬 포리돌레코드가 키운 평양기숙학교 출신 최고의 가수이다. 데뷔 직후인 1935년 <삼천리>리가 실시한 인기 투표에서 왕수복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이난여이고 4위는 전옥이다.

 

1935년 <풍년맞이>를 불렀고, 김주호와 듀엣으로 <상고선> <원앙가> 등을 불렀다. 9월에는 <처녀제> 12월에는 <태평가>가 히트곡이 되었다. 1936년 신출 특별 신보에서 <조선팔경가>를 발표해 그녀의 대표곡이 되었다. 이후 <압록강 뱃노래> <바람이 났네> 등을 발표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1939년 선우일선은 태평레코드로 옮겨 간다. <주릿대 치마> 를 불렀고, 1940년 1월에 <압록강 뱃노래>를 발표한다. 5월에는 <바람이 났네>를 부른다. 한국전쟁 후 북한에 머물렀으며 평양음악대학 성악하부 민족성악 교원이 되었다고 한다. 1990년 만 71세로 사망한다.

 

히트곡

19346<꽃을 잡고>

19344<무정세월>

19347<숲 사이 물방아> <원포귀범>

19351<남포의 추억>

19354<그리운 아리랑>

<남포의 추억>은 영화 <바다여 말하라>의 주제가이다.

19355<풍년맞이> <상고선>

19357<원앙가>

19359<처녀제>

193512<태평연>

1936년 신춘보 <조선팔경가> (19391월 신보에 <조선팔경>으로 재발매)

19366<피리소리> <능수버들>

 

이후는 태평레코드

193912<주릿대 치마>

19401<압록강 뗏목노래>

19405<첫사랑 푸념> <바람이 났네>

 

1934년 5월 <그리운 아리랑>

1934년 5월 <그리운 아리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