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재호4

남중남 / 아가씨 무성 / 1941년 남중남 / 아가씨 무성 1941년 10월 타이헤이에서 발매한 앨범이다. 발매일 1941년 10월 제작사 타이헤이 앨범번호 C-5012 앞면 남중남 / 백년설 / 김영일 / 이재호 뒷면 아가씨 무성 / 백난아 / 김다인 / 김교성 그 어떤 자료도 남아 있지 않다. 2022. 12. 19.
산장의 여인,가사,권혜경 산장의 여인 작사 반야월 작곡 이재호 노래 권혜경 발표 1957년 곡해설 작사가인 반야월은 마산 출신이다. 어느날 진방남으로 잠시 가수로 활동 할 때 고향인 마산에 내려가 국립마산 결핵요양소(현 국립마산병원)에서 위문공연을 한다. 이때 자신의 히트곡인 를 부른다. 이때 뒤편에서 관람하던 한복 차림의 젊은 여인이 눈물을 훔치고 있었다. 애처로운 모습에 무슨 사연 때문인지 알아봤다. 그녀는 결핵에 걸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 투병하고 있다. 요양소 본 병동 건너편 숲속 산장병동 요양중이었다. [사연과 사진은 다음블로그 '오동동타령'과 마산노래들에서 가져옴] 사연을 듣고나니 마음이 아려왔다. 여인의 심정으로 작사를 해 이재호에게 곡을 부탁했다.이재호도 한 때 몸이 안 좋아 요양소에서 치료를 받은 적이 있어 여.. 2021. 6. 20.
번지 없는 주막,가사, 백년설 번지 없는 주막 작사 추미림 작곡 이재호 노래 백년설 발표 1940년 곡해설 유차영은 을 해설하면서 제목을 '강요된 근대화, 조선 백성의 시름>으로 잡았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불려진 이 노래는 나라 잃은 조선인들의 애환을 담고 있다. 당시 25세이던 백년설은 민족의 한을 노래에 담았다. 하지만 그는 이듬해 일제의 지원병제를 독려하는 칠인 군국가요인 를 부르기도 했다. 일제 말기 애국과 친일 사이에서 갈등했던 전형적인 연예인의 모습이다. 당시의 주막은 술을 파는 곳이며 하룻밤 묵고 가는 여인숙과 같았다. 대부분의 주막은 술과 밥을 파는 대신 잠자는 값은 받지 않았다. 한 방에 10명 20명씩 들어가 혼숙을 하며 하룻밤을 보냈다. 당시는 여행이란 개념보다는 보따라 장수가 많았고, 일을 보기 위해 걸어서 여행.. 2021. 6. 17.
꽃마차, 진방남, 19442년 꽃마차 작사 반야월 작곡 이재호 노래 진방남(반야월의 다른 이름, 반야월의 본명은 박창오) 발표 1942년 이 노래는 원래 서울을 노래한 곡이 아니라 1939년 하얼빈을 노래한 곡이다. 슬프게도 당시 일본이 만주와 중국을 침공할 때로 상당한 경쾌한 분위기를 가졌다. 일본 군국주의적 성향을 다분한 노래다. 해방후 친일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가사를 바꾸었다. 원곡에는 서울이 하루삔으로 되었다. 하지만 엄밀하게 친일가를 아니다. 당시의 상황을 적절하게 섞은 것이다. 다행히 2010년 6월 간단회 자리에서 자신의 친일행적을 사과했다. 그의 나이 93세 때다. 가사 노래-하자 꽃서-울 춤추는 꽃-서-울 아카시-아 숲속으로 꽃마-차는 달려간-다 하늘은 오렌지색 꾸-냥의 귀걸-이-는 한들한들 손풍금 소리 들려온다 방울.. 2021. 5.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