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의 눈물
- 작사 문일석
- 작곡 손목인
- 노래 이난영
- 발표 1935년
- 회사 오케레코드
가사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며
삼학도 파도 깊이 숨어드는데
부두의 새아씨 아롱젖은 옷자락
이별의 눈물이냐 목포의 설움
삼백 년 원한 품은 노적봉 밑에
임 자취 완연하다 애달은 정조
유달산 바람도 영산강을 안으니
임 그려 우는 마음 목포의 노래
깊은 밤 조각달은 흘러가는데
어찌다 옛 상처가 새로워진다
못 오는 임이면 이 마음도 보낼 것을
항구에 맺은 절개 목포의 사랑
해설
한국가요의 역사는 이난영과 <목포의 눈물>을 빠뜨리고는 논할 수 없다. <목포의 눈물>은 단지 목포와 호남사람들의 정신적인 추억으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 가요의 역사이자 항일정신의 상징적인 노래이기도 하다. 1934년 전국 6대도시 애향가사 모집을 하던 때 함경남도 함흥 출신이며 목포에서 기자 생활을 하던 문일석이 <목포의 사랑>이란 제목을 출품해 1등을 받았다. 손목인이 작곡하여 <갈매기 우는 항구>라는 내 놓았지만 당시 일제는 대중가요에 대한 검열을 심하게 하던때라 통과하지 못한다. 다시 <목포의 사랑>으로, 다시 최종적으로 <목포의 눈물>로 고쳐 이난영아 불러 탄생하게 된다. 오케 레코드에서 취입하게 되었는데, 당시 오케레코드 사장이었던 이철사장이 기획한 것이다. 오케 레코드는 본사가 일본에 있었고 이철은 오케 레코드 조선지사장이었다.
1935년 일제 통치 25년이 되던 해다. 초기의 무단통치를 지나 문화통치를 시행한다. 하지만 35년부터 일제는 자신들의 본색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고 민족문화말살정책을 시작한다. 그러한 상황 탓에 <목포의 눈물>은 왜경들에의해 몇 번을 조사 받아야 했다. 왜냐하면 가사가 민족성을 일깨운다는 의혹을 받았기 때문이다.
일제가 의심했던 부분은 ‘삼백 년 원한’이란 표현과 ‘노적봉’이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정군과 연관되었다는 의혹을 받은 탓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한 것으로 선조 25년인 임진년에 시작하였다하여 임진왜란이라 불렀다. 1592년에 시작된 전쟁은 1598년에 가서야 종결된다. 왜구가 조선을 떠난지 336년이 지나 다시 쳐들어와 점령을 했으니 그 ‘한’이 얼마나 깊겠는가.
노적봉은 유달산 기슲에 있는 바위로 목포 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이다. 1957년 9월 16일 명량대접 당시 이순신 노적봉에서 머물며 지휘를 했다고 전해진다. 이 사실을 모를 리 없는 왜경들이 가만 둘리 없었던 것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부산, 목포, 군산, 인천 등은 일본의 수탈의 상흔이 남아있다. 대륙에서 가져온 쌀등 수탈물품을 항구도시였던 목포로 가져와 싣고 일본으로 갔다. 특히 목포는 삼백으로 불린 쌀, 목화, 소금이 집중적으로 수탈되었던 도시였다. 애써 수고해도 자신들의 입에 넣지 못한 식민지인이었던 목포 사람들에게 뱃고동 소리는 아련한 추억이 아닌 슬픔과 눈물의 소리였을 것이다.
삼학도는 목포항 바로 앞에 자리한 작은 섬이다. 지금은 연륙교가 건설되어 육지가 되었다. 이곳에 이난영 공원이 설립되어 있다. 남편은 당시 유명했던 김해송이며, 자녀들은 김시스터즈와 김보이스로 활동했다. 오빠였던 이봉룡은 작곡가로 활동한 말 그대로 가족 전체가 음악사에 큰 흔적을 남긴 가문이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난영 생애와 히트곡>을 참고 바람.
주현미가 부르는 <목포의 눈물>
역시 트롯의 여제가 맞네요.. 아련한 목소리가 노래와 잘 어울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