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26 향기품은 군사우편, 유춘산, 1954년 군사우편 작사 박금호 작곡 나화랑 노래 유춘산 발표 1954년 회사 라이온 레코드사 발표 시기가 약간 모호하다. 정확한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레코드에 취입한 것은 1954년이지만 이 노래는 수년 전부터 불려진 곡이라고 한다. 즉 전쟁의 포화 속에서 불려진 노래인 것이다. 행주치마는 주부들이 일을 할 때 덧입던 옷으로 옷을 보호하고 그릇을 닦기 위한 목적으로 입었다. 하지만 행주산성 사건과 연계되어 조국을 지키려는 여성들의 헌신을 상징하게 된다. 여기서 조국을 위해 헌신하는 여성이란 모티브를 차용한다. 물론 여성이 전장에 나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남편을 위해 가정을 지키는 여성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행주산성의 역사적 사건과 맞물린다. 가사 행주치마 씻은 손에 받은 님 소식은 능선의 향기 품고.. 50년대가요 2021. 4. 28. 더보기 ›› 백마강, 가사 동영상, 남상규, 1954년 백마강 작사 손로원 작곡 한복남 노래 남상규 발표 1954년 이 노래는 1954년, 그러니까 육이오 전쟁 직후 발표된 노래다. 허민을 알린 곡인 동시에 백제의 마지막 장면을 노래한 것이다. 백마강은 우리나라 4대 강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속하지 않지만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강이다. 백마강은 600년 백제의 마지막을 장식한 곳이며, 계백 장군의 한을 품고 있다. 백제의 마지막 의자왕은 국력이 이미 기울여 신라에 의해 정벌을 당할 처지였지만 가무를 포기하지 않았다. 자신의 죽음을 알았던 계백 장군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660년 신라군이 백제와의 마지막 전투를 시작한다. 아마 당나라만 아니었던 신라는 절대 백제를 이길 수 없었을 것이다. 의자왕도 나쁜 놈이고, 신라는 더 나쁘다. 하.. 50년대가요 2021. 4. 28. 더보기 ›› 60년대 가수와 대표 히트곡 60년대 가수와 대표 히트곡 1960년대 가수와 히트곡입니다. 육이오 전쟁을 마친지 불과 몇 년도 되지 않았지만 사람들은 노래를 부르며 힘겨운 시간을 보내온 것 같지만 제가 경험하지 못한 시대라 그런지 아련하게 다가옵니다. 순서는 가수-가요로 작성했고 가수 이름을 가다다 순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초중반 시기별로 나누면 좋겠지만 아직 여력이 없어 일단 가수별 가나다순으로만 정리합니다. 시간이되는대로 발표 연대를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1960년대 시대적 배경 60년대 노래를 이해하려면 당시 시대적 배경을 조금 이해할 필요가 있다. 1950년 육이오(한국전쟁)이 일어났고 1953년 휴전 협정이 이루어진다. 이승만 정권 하에서 이 모든 일이 일어난 것이다. 전쟁 후 사람들이 피폐해졌고, 이승만은 정권을 유지하.. 시대별노래 2021. 4. 28. 더보기 ›› 한국전쟁(625) 관련 노래 모음 전쟁 관련 노래 모음 한국전쟁은 참으로 많은 아픔과 고통을 안겼습니다. 그러나 언젠가는 한 번 치러야할 싸움이었습니다. 남과 북은 미국과 소련이라는 이데올로기 집단에 의해 찢겨지는 상흔입니다. 아무런 힘이 없던 우리나라는 속수무책으로 당해야 했습니다. 전쟁에 관련된 노래들을 들어보면 사람들의 아픔과 애환이 담겨 있습니다. 전쟁 관련 노래는 1950년과 1960년대의 곡들이 대부분입니다. 한국전쟁과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전쟁의 소문이 끝나지 않은 시기입니다. 특히 1969년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서 손을 들고 철수합니다. 베트남 전쟁의 이야기도 대중 가요 속으로 흘러 드러오면서 새로운 전쟁의 이야기를 만들어 냅니다. 가장 유명한 노래는 김추자의 가 아닐까 싶네요.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의 대중가요는 '전.. 주제별가요 2021. 4. 28. 더보기 ›› 50년대 가수 대표 히트곡 50년대 가수 대표 히트곡 50년대는 한국사에 있어 매우 특별한 시간이었습니다. 해방 후 재건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이념의 갈등, 미국의 통치, 그리고 한국전쟁(육이오)까지 일어나면서 풍비박산이 일어납니다. 1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북한은 전쟁을 일으킴으로 피비린내 나는 동족상잔의 아픔이 시작됩니다. 50년대 가요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전쟁' '이별' '눈물' 등의 단어들이 많이 사용됩니다. 독특하게도 미군의 지배하에 있었던 탓에 이국적인 단어나 노래가 적지 않게 보인다. '아메리카' '차이나타운' '탱고' '엘레지' 등은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고, 이해다 되지 않는 이국적 단어지만 이미 가요를 통해 전파되고 있었던 것이죠. 아래의 노래는 50년대 가장 유명한 노래들입.. 시대별노래 2021. 4. 2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