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26

술 음주 관련 노래 목록

술 음주 관련 노래 목록 술(음주)과 관련 노래입니다. 술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노래들입니다. 필자의 관점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Have a drink / 지아 I can't drink / 백지영 건배 / 나훈아 고래사냥 / 송창식 궤변 / 임재범 그대 술잔에 / 최진희 나그네 선술집 / 오세진 남자의 술잔 / 나영수 낭만에 대하여 / 최백호 눈물의 술잔 / 오승근 독한 술 / 마야 마도로스 술잔 / 백야성 마시자 / 크라잉넛 막걸리 한잔 / 영탁 막걸리나 / 버스커버스커 맥주 / 3호선 버터플라이 맥주 2잔 / 키썸 맥주와 땅콩 / 쿨 목로주점 / 이연실 반대로 또 거꾸로 / 부가킹즈 부두의 선술집 / 최무룡 비에 젖은 주막집 / 박재홍 사나이 술잔 / 신동석 사랑이 술을 가르쳐 / 이승기 선술집 /.. 주제별가요 2021. 10. 28.

김포가도, 가사, 남해일-남진

김포가도 김포가도는 양화대교에서 김포공항에 이르는 약 7km의 8차선 도로이다. 1967년 남해일이 부르고, 1974년 남진이 불러 대히트를 쳤다. 가사 그렇게도 떠나기를 아쉬워한 사람을 보내고 돌아오는 김포 가도 창밖을 스쳐가는 싸늘한 바람 쌍이고 쌓였던 지난 사연 구름 속에 사라졌네 수많은 별 같은 추억을 안고 쓸쓸하게 돌아오는 밤 깊은 김포 가도 그렇게도 헤어지길 망설이는 사람을 보내고 돌아오는 김포 가도 두 눈에 아롱지는 가버린 얼굴 쌓이고 쌓였던 지난 사연 구름 속에 사라졌네 수많은 별 같은 추억을 안고 쓸쓸하게 돌아오는 밤 깊은 김포 가도 2. 해설 노래는 시대를 반영하는 법이다. 김포공항은 당시 한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었다. 1967년은 새마을 운동이 시작되는 계발 초기의 상황이다. 당시 비.. 60년대가요 2021. 10. 28.

이용의 잊혀진 계절, 10월의 마지막 밤

이용의 잊혀진 계절 박건호 작사, 이범희 작곡, 이용 노래 1982년 발표된 곡으로 이용이 불러 대히트곡이 된 노래이다. 시월의 마지막 날이 되면 온 거리를 뒤덮을 정도로 유명했다. 지금도 간간히 들린다. 이용의 이 아련하게 들리는 이유는 가을과 노래 분위기가 잘 어울려이기도 하고, 시월의 마지막 밤이라는 특정한 시간 때문이기도 하다. 잊혀진 계절 가사 이용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 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우리는 헤어졌어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잊을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 80년대가요 2021. 10. 28.

한강의 다리와 노래

한강의 다리와 노래 한강에 놓인 다리의 종류와 관련된 노래입니다. 목록만을 간략히 간추렸습니다. ( )의 연도는 준공 또는 개통일을 말합니다. 경기도 서부 일산대교(2008년) 서울특별시 권내 신행주대교(1997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방화대교(2000년, 인천국공항고속도로) 마곡철교(2010년, 인천 국제공항철도) 가양대교(2002년) 월드컵대교(2021년) 성산대교(1980년) 앙화대교(1965년, 제2한강교) 당산철교(1983년, 서울 지하철 2호선) 서강대교(1999년) 원효대교(1981년) 마포대교(1970년, 구서울대교) 원효대교(1981년) 한강철교(1900, 수도권 전철 1호선) 노량대교(1986년, 한강 횡단교가 아님) 한강대교(1917년, 제1한강교) 동작대교(1984년, 수도권 .. 주제별가요/자연식물 2021. 10. 28.

눈물의 구포다리, 가사, 이갑돈

눈물의 구포다리 1967년 발표한 곡으로 탁소연 작사 나화랑 작곡 이화랑 노래한 곡이다. 가사 낙동강 구포다리에서 손수건 적시면서 떠나는 님을 부여잡고 목 놓아 울던 밤아 어기여차 한소리에 노를 저어 노를 저어 돌아오지 못할 길을 어이 가셨나 낙동강 구포다리에서 두 손을 부여잡고 버들이 피면 오신다고 맹서턴 우리 님아 어기여차 한소리에 노를 저어 노를 저어 기다리는 십년세월 허사로구나 해설 구포다리는 부산시 구포와 김해를 잇는 다리로 1932년 준공되었고, 2008년 용도 폐기되어 철거되었다. 구포교는 낙동강에 건설된 최초의 다리로 개통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긴 교량이었다. 다리가 흔하지 않았던 탓에 영도대교와 더불어 부산을 대표하는 다리가 되었다.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다리의 일부가 유실되면서 .. 60년대가요 2021. 10.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