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미자22

동백 아가씨, 가사, 이미자,

동백 아가씨 작사 한산도 작곡 백영호 노래 이미자 발표 1964년 즈음 회사 지구레코드사 는 1964년 영화 의 주제곡이며, 이미자를 국내 최고의 가수로 만든 노래이다. 이미자가 사랑하는 3곡 중의 하나이다. 가사 헤일수없이 수많은 밤을 내 가슴 도려내는 아픔에겨워 얼마나 울었던가 동백아가씨 그리움에 지쳐서 울다지쳐서 꽃잎은 빨갛게 멍이 들었오 동백꽃잎에 새겨진사연 말못할 그사연을 가슴에 앉고 어느덧 기다리는 동백아가씨 가신님은 그언제 그어느날에 외로움 동백꽃 찾아 오려나 처음 등장하는 앨범은 60년대 히트 앨범이다. 처음 나올 때는 영화 의 주제가였다. 분명 영화 제목도 인데 앨범에 나올 때는 타이틀 곡이 아닌 뒷면에 수록되었다고 한다. 타이틀 곡은 남자 주연 배우가 부른 이었다. 하지만 영화가 개봉되.. 60년대가요 2021. 5. 14.

섬마을 선생님, 가사, 이미자, 1966년

섬마을 선생님 작사 이경재 작곡 박춘석 노래 이미자 발표 1966년 회사 지구레코드 은 이미자의 초기 앨범인 [섬마을 선생님]에 수록된 곡이다. 와 더불어 이미자를 대표하는 곡이다. 1967년에는 문공부로부터 작곡상과 가창상을 수상했고, 무궁화훈장까지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얼마 후 금지곡이 되기도한 우여곡절이 많은 노래이다. 가사 해당화 피고 지는 섬마을에 철새 따라 찾아온 총각 선생님 열 아홉살 섬색시가 순정을 바쳐 사랑한 그 이름은 총각 선생님 서울엘랑 가지를 마오 가지를 마오 구름도 쫓겨가는 섬마을에 무엇하러 왔는가 총각 선생님 그리움이 별처럼 쌓이는 바닷가에 시름을 달래보는 총각 선생님 서울엘랑 가지를 마오 떠나지 마오 곡해설 해당화(海棠花)는 장미과에 속한 꽃이다. 나무와 잎은 장미에 가깝지만.. 60년대가요 2021. 5. 14.

유달산아 말해다오, 가사, 이미자, 1967년

이미자 유달산아 말해다오 작사 반야월 작곡 고봉산 노래 이미자 발표 1969년 회사 지구레코드사 이미자의 '유달산아 말해다오'는 고봉산 작곡집 제7집에 수록된 곡이다. 이곳에는 남진의 목포의 연가와 이미자의 또 다른 노래 목포의 달밤이 들어있다. 고봉산(1927-1990)은 남석일이란 예명을 사용했다. 본명은 김민우다. 1927년 황해도 안악 출신으로 금성좌 전속 단원으로 데뷔했다. 1961년 김진경 작사 김민우 작곡 '아메리카 마도로스'가 대 히트를 치면서 알려졌다. 1990년 6월 21일 지병으로 앓아 왔던 심장병으로 운명을 달리한다. 가사 꽃피는 유달산아 꽃을 따던 처녀야 달 뜨는 영산강에 노래하던 총각아 그리움을 못 잊어서 천 리 길을 왔건만 임들은 어디 갔나 다 어딜 갔나 유달산아 말해다오 말 .. 60년대가요 2021. 5. 11.

목포의 연가, 가사, 남진, 1967년

목포의 연가 작사 강사랑 작곡 고봉산 노래 남진 발표 1967년 회사 지구레코드사 고봉산 7집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이미자의 도 이 앨범에 들어가 있다. 가사 구슬픈 고동소리 남겨 놓고서 떠나간 그 사람은 어데로 가고 삼학도 동백꽃은 누굴 위해 피었는가 무정터라 모래 위에 새긴 사연을 애달퍼 우는구나 목포항 아가씨가 선창가에서 목메인 기적소리 남겨 놓고서 떠나간 호남선은 철길만 멀고 유달산 산마루에 조각달도 외로운데 야속터라 파도소리 섧기만 하여 애달퍼 우는구나 목포항 아가씨가 달빛 아래서 해설 '고동소리' '선창가' '기적소리' 등은 항구 도시가 갖는 전형적인 표현들이다. 멜로니나 분위기가 를 많아 닮아 있다. 남진의 전형적은 그윽한 목소리가 가득하다. 목포항 아가씨는 항이 갖는 여성성을 드러내는 표.. 60년대가요 2021. 5. 10.

고봉산작곡 제7집

고봉산작곡 제7집 SIDE 1 1. 유달산아 말해다오(이미자) 2. 목포의 달밤(이미자) 3. 오동 추야(이미자) 4. 비젖는 나그네(이미자) 5. 첫사랑 편지(문주란) SIDE 2 1. 목포의 연가(남진) 2. 여길가도 저길가도(남진) 3. 생각을 말아야지(남진) 4. 사이공 부두(임선애) 5. 늴리리 튀스트(이은관) 이미자가 부르는 이미자가 부르는 이미자의 이미자의 앨범목록 2021.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