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940년5 우러라 문풍지 / 이난영 우러라 문풍지 / 울어라 문풍지 노래 이난영 작사 박영호 작곡 김해송 편곡 김해송 발매 1949년 2월 제작사 오케 앨범번호 20015 어느 앨범에는 1949년으로 나와 있지만 어떤 앨범은 1940년으로 되어 있다. 아마도 1940년에 처음 발매되고 49년 해방되어 다시 발매한 것으로 보인다. 1940년대 앨범에는 NIPPON, 즉 일본으로 되어 있다. 어떤 배경에서 이론 노래가 만들어졌는지 불활실하다. 조국을 잃은 마음에서 흘리는 눈물은 문풍지가 대신 울러달라 표현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가사] 울어라 문풍지야 너나 실컨 울어라 너마저 안 운다면 내 속을 누가 푸니 울어라 울어다오 너나 실컨 울어다오 젖어라 문풍지야 너나 실컨 젖어라 너마저 안 젖으면 내 맘을 누가 아니 젖어라 젖어다오 너나 실컨 젖.. 2022. 12. 20. 나그네 설움,가사, 백년설 나그네 설움 작사 조경환 작곡 이재호 노래 백년설 발표 1940년 2월 회사 타이헤이(태평레코드) 1. 곡해설 백년설이 노래한 이 곡은 나성령의 앞 부분에 실린 곡이다. 1940년은 일제 말기로 접어드는 시기지만 일제의 패망을 알지 못한 탓에 중국과 미국까지 점령하려는 일제의 야망이 깃든 시기다. 1940년 2월 신보로 발매된 음반이다. 1930년대 후반 일본에서 유행한 도추모노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이 노래는 와 더불어 백년설의 3대 대표곡으로 꼽힌다. 백년설의 고향을 경상북도 성주군에 설립된 노래비에 의 가사가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트로트는 단조였지만 1930년대 이후 장조풍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이곡은 장조 트로트의 대표작이다. 가사 오늘도 걷는 다만은 정처없는 이발길 지나온 자욱마다 눈물.. 2021. 8. 13. 번지 없는 주막,가사, 백년설 번지 없는 주막 작사 추미림 작곡 이재호 노래 백년설 발표 1940년 곡해설 유차영은 을 해설하면서 제목을 '강요된 근대화, 조선 백성의 시름>으로 잡았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불려진 이 노래는 나라 잃은 조선인들의 애환을 담고 있다. 당시 25세이던 백년설은 민족의 한을 노래에 담았다. 하지만 그는 이듬해 일제의 지원병제를 독려하는 칠인 군국가요인 를 부르기도 했다. 일제 말기 애국과 친일 사이에서 갈등했던 전형적인 연예인의 모습이다. 당시의 주막은 술을 파는 곳이며 하룻밤 묵고 가는 여인숙과 같았다. 대부분의 주막은 술과 밥을 파는 대신 잠자는 값은 받지 않았다. 한 방에 10명 20명씩 들어가 혼숙을 하며 하룻밤을 보냈다. 당시는 여행이란 개념보다는 보따라 장수가 많았고, 일을 보기 위해 걸어서 여행.. 2021. 6. 17. 서창(西窓)의 밤눈물, 이난영 서창(西窓)의 밤눈물 작사 조명암 작곡 박시춘 노래 이난영 발표 1940년 12월 회사 오케레코드 5021-B 가사 서창을 쓸어 덮는 빗발은 웬 일이냐 침침침련 등잔불을 우두머니 바라보며 한 많은 임 생각에 내 가슴이 뚫어졌다 덧 문을 뒤흔드는 바람은 웬 일이냐 단칸 방에 홀로 누워 홋 이불을 쓸어안고 야속한 옛 생각에 내 청춘이 시들었다 벼개에 헝클리는 머리는 설움이냐 독수공방 싸늘한 벽 임인 듯이 때려보며 못 잊을 내 사랑에 내 마음이 창이 났다 2021. 5. 18. 화류춘몽, 가사, 이화자, 1940년 화류춘몽(花柳春夢) 작사 조명암 작곡 김해송 노래 이화자 발표 1940년 이화자의 은 화류계 여성들의 애달픈 삶을 노래한다. 가사를 보면 꽃다운 나이에 화류계에 들어가 겪었던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젊은 시절 이팔소년을 울려도 보았고, 첫사랑에 울기도했다. 하지만 지금은 낙화신세다. 이제는 기생이란 이름이 원수 같다. 2절 가사 마지막에는 자신의 직업이 기생이라 할지언정 마음까지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가사 꽃다운 이팔 소년 울려도 보았으며 철 없는 첫사랑에 울기도 했더란다. 연지와 분을 발라 다듬는 얼굴 위에 청춘이 버스러진 치는 낙화 신세 마음마저 기생이라 이름이 원수다 점잖은 사람한테 귀염도 받았으며 나 젊은 사람한테 사랑도 했더란다 밤 늦은 인력거에 취하는 몸을 실어 손수건 적신 적이 몇 .. 2021. 5.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