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정강점기가요47 일제강점기 가수와 가요 일제강점기 가수와 가요 일제강점기 시절의 가수와 대표곡을 정리한 곡입니다. 가능한 많은 곡을 실을 예정이지만 모든 곡을 실을 수 없기에 당시 많은 사랑을 받았던곡 중심으로 실었습니다. 1. 일제강점기 시기 구분 일제 강점기의 노래를 시대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자료가 그리 많지 않아 인터넷을 주로 참조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앞은 가수 이름이거나 예명이고 뒤는 노래제목입니다. 발매 연대를 알 수 있는 것은 ( )안에 발매 연대를 숫자로 표기했습니다. 1기는 1880-1915년까지이며, 엄밀하게 그렇다할 가요는 없는 시대이다. 대중음악사로서는 크게 주목 받지 못한 시기이다. 2기는 1916년부터 1932년까지로 근대적 성향의 새로운 음악이 출현하고 음반이 발매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한다. 문화 통치기.. 일정강점기가요 2021. 8. 19. 더보기 ›› 나그네 설움,가사, 백년설 나그네 설움 작사 조경환 작곡 이재호 노래 백년설 발표 1940년 2월 회사 타이헤이(태평레코드) 1. 곡해설 백년설이 노래한 이 곡은 나성령의 앞 부분에 실린 곡이다. 1940년은 일제 말기로 접어드는 시기지만 일제의 패망을 알지 못한 탓에 중국과 미국까지 점령하려는 일제의 야망이 깃든 시기다. 1940년 2월 신보로 발매된 음반이다. 1930년대 후반 일본에서 유행한 도추모노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이 노래는 와 더불어 백년설의 3대 대표곡으로 꼽힌다. 백년설의 고향을 경상북도 성주군에 설립된 노래비에 의 가사가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트로트는 단조였지만 1930년대 이후 장조풍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이곡은 장조 트로트의 대표작이다. 가사 오늘도 걷는 다만은 정처없는 이발길 지나온 자욱마다 눈물.. 일정강점기가요 2021. 8. 13. 더보기 ›› 애수의 제물포,가사, 남인수 애수의 제물포 작사 박영호 작곡 손목인 편곡 손목인 노래 남인수 발표 1937년 회사 오케레코드사 1. 곡해설 이 곡은 송달협이 부른 의 뒷면에 실린 곡이다. 사랑하는 아내를 남겨 두고 머나먼 곳으로 떠나야 하는 남편의 애환을 담고 있다. 당시 제(재)물포는 많은 배들이 오가는 큰 항구였다. 한 번 떠나면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한 달 넘게 선상생활을 해야 했다. 환경이 열악한 탓에 한 번 떠나면 영영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가사 제물포 궂은 비는 이별의 눈물 닻 잡고 느껴 우는 지아비 눈물 아득한 물길 위에 노을이 타거든 아 님 그려 우는 이의 가슴인 줄 아시오 제물포 실안개는 이별의 하소 손 잡고 느껴 우는 아낙네 눈물 캄캄한 파도 우에 비바람 치거든 아 님 그려 우는 이의 마음인 줄 .. 일정강점기가요 2021. 8. 5. 더보기 ›› 국경의 버들밧, 가사, 송달협 국경의 버들밧 작사 박영호 작곡 박시춘 편곡 박시춘 노래 송달협 발표 1937년 1. 곡해설 이 노래는 남인수의 와 함께 출시된 음반에 들어가 있다. 아코디언 반주는 손목인이 했고, 기타는 박시춘이다. 1937년 오케레코드 음반 OK-1976에 실렸다. 송달협은 1937년 로 데뷔했다. 송달협은 데뷔 1년 전인 1936년 오케레코드 콩코르에서 장세정과 같이 입상을 했다. 독특한 중저음 목소리가 매력적이다. 남인수와 사뭇 다른 느낌이다. 등을 불렀지만 안타깝게 1956년 아편 중독으로 생을 마감했다. 은 압록강과 두만강 경계를 이루는 간도와 만주 지방을 배경으로 한다. 초록빛 이파리 헤치며 울고 있는 새를 향해 임의 편지가 왔는가 묻는 장면은 당시이 시대적 배경을 잘 알려준다. 당시 수많은 조선인들은 일본.. 일정강점기가요 2021. 8. 5. 더보기 ›› 영춘부,가사,선우일선 영춘부 작사 이고범 작곡 김면균 노래 선우일선 발표 1934년 1. 곡해설 영춘부의 뜻 / 영춘(迎春)은 봄을 환영한다는 뜻이다. 마지막 부(賦)는 중국 에서 이르는 지 창작법인 육의 인 풍아송부비홍 중의 하나이다. 부는 비유를 쓰지 않는 직설적 표현을 말한다. 가사는 화사한 봄맞이 풍경을 그리고 있다. 작사가인 이고범은 이서구의 예명이다. 선우일선은 평에 있던 기생조합 기성권번 출신 가수이다. 이서구는 1899년 한양에서 출생하여 안양에서 자란다. 서울제일고등보통학교와 오산고등학교에서 공부한다. 가사 1.봄마지 가세 에혜야 봄마지 가세 앞산과 뒷내 가세 봄마지 가세 산들산들 봄바람에 이 언덕 저언덕 진달내신이화라 에헤 봄마지 가세 봄 바람 타고 에헤 저 강을 넘세 2.봄 소식마저 가세 정든님찻세 나비쌍.. 일정강점기가요 2021. 7. 6.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