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0년대가요

아메리카 마도로스, 고봉산 노래

by Ἀμφίων 2024. 9. 29.
반응형

아메리카 마도로스

  • 노래 고봉산, 작사 김민부, 작곡 김교성

1절

무역선 오고가는 부산항구 제2부두
죄많은 마도로스 이별이 야속트라
닻줄을 감으면은 기적이 울고
뱃머리 돌리면은 사랑이 운다

후렴

아~ 항구의 아가씨 울리고 떠나가는

버리고 떠나가는 마도로스

아메리칸 마도로스

 

2절

꽃물결 넘실대는 부산항구 제2부두

출렁한 마도로스 항구가 무정트라

깃발을 올리면은 기적이 울고

테~프가 끊어지면 사랑이 운다

 

3절

갈매기 춤을추는 부산항구 제2부두

손수건 흔들면은 기적이 울고

못 믿을 마도로스 맹세도 허사드라

등대불 깜빡이면 사랑이 운다.

 

 

 

"아메리카 마도로스"는 1950~60년대 대한민국에서 유행한 마도로스 가요 중 하나로, 당시 부산항과 같은 항구를 배경으로 선원의 외로움과 이별, 떠돌이 인생을 그린 노래입니다. 이 곡은 김민부가 작사하고, 김교성이 작곡한 곡으로, 항구를 배경으로 한 마도로스의 감정과 상황을 서정적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작사 배경

1950년대 한국은 한국전쟁 이후 많은 사람들이 부산, 인천과 같은 항구 도시로 이주하여 생계를 이어가야 했던 시기였습니다. 특히, 선원(마도로스)들의 삶은 당시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직업군 중 하나로 자리잡았으며, 이들은 해외와 국내 항구를 오가며 장기간 가족과 떨어져 생활해야 했습니다. 김민부의 가사는 이런 마도로스의 외로움과 이별의 감정을 담고 있으며, 이별의 장소인 항구에서 느끼는 감정이 서정적으로 표현됩니다. 이 노래는 마도로스의 떠돌이 인생, 고독을 상징적으로 그리며, 떠나고 돌아오는 뱃사람의 삶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음악적 특징

"아메리카 마도로스"는 전형적인 트로트의 형식을 따릅니다. 이 곡은 느린 템포와 슬픈 멜로디가 특징이며, 한국적 서정성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주로 현악기와 트로트 특유의 2박자 리듬이 곡의 주된 악기 구성을 이루며, 가수의 애절한 목소리와 맞물려 감정선을 깊게 파고듭니다. 곡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애잔함과 이별의 정서를 담고 있으며, 항구를 떠나야만 하는 마도로스의 감정적 갈등과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노래로 표현합니다.

 

1절 가사의 상징성

1절 가사에서 "무역선 오고가는 부산항구 제2부두"는 마도로스가 일하는 현장을 보여줍니다. 부산항은 1950~60년대 한국의 경제 중심지로,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이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습니다. 이는 당시 이주와 이동이 빈번했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합니다.

 

"죄많은 마도로스 이별이 야속트라"에서 마도로스는 자신의 직업적 운명에 대한 원망을 드러냅니다. 이 직업은 항구에 정착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떠나야 하는 삶을 상징하며, 이 과정에서 마도로스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자주 이별해야 합니다.

 

"닻줄을 감으면은 기적이 울고, 뱃머리 돌리면은 사랑이 운다"는 항해를 떠나기 직전의 순간을 감정적으로 표현한 구절입니다. 닻을 감는 순간과 기적(汽笛)이 울리는 소리는 출발의 상징으로, 이별의 순간을 강조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은 마도로스가 떠나야 하는 인생의 고통과 상처를 드러냅니다.

 

후렴 가사의 상징성

후렴에서 반복되는 "아~ 항구의 아가씨 울리고 떠나가는" 구절은 마도로스의 이별 장면을 극적으로 묘사하며, 항구의 아가씨는 마도로스를 떠나보내야만 하는 연인이나 아내를 상징합니다. "버리고 떠나가는 마도로스"는 그가 떠나야만 하는 삶의 숙명을 나타내며, "아메리칸 마도로스"는 그가 미국으로 향하는 국제적인 항해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쟁 이후 국제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선원들이 해외로 자주 나가야 했던 시대적 배경과도 맞물립니다.

 

시대적 배경과 상징성

1950~60년대 한국 사회는 전쟁 후 복구와 경제 재건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새로운 항구 도시로 이주했으며, 선원들이나 항구를 배경으로 한 직업군은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마도로스는 바다로 떠나고, 항구에서 이별하는 이들의 삶은 대중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 노래에서 항구, 이별, 떠남, 그리고 기적 소리와 닻줄 등의 상징들은 마도로스의 떠돌이 인생과 고독한 감정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결론

"아메리카 마도로스"는 1950~60년대 대한민국의 사회적 현실과 마도로스의 삶을 서정적으로 담아낸 노래입니다. 이별, 그리움, 항구는 그 시대의 상징적 요소로, 선원들이 겪는 고통과 삶의 무게를 감정적으로 전달하며, 당시 대중들의 큰 공감을 얻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