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중가요10 대중가요 마도로스 노래 대중가요 마도로스 노래 오랜 전 노래를 듣아보면 유심히 많은 단어 중의 하나가 마도로스입니다. 정확한 의미는 몰라도 배 선원 등과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마도로스는 외항선 선원을 뜻하는 네덜란드어(matroos)에서 온 것으로 일본으로 들어와 다시 우리나라로 번역해 들어오면서 일본식 발음을 가져온 것이다. 영어로는 (Able seaman)이다. 자격증이 없는 일반 갑판 선원을 말합니다. 마도로스라는 단어가 들어간 시대를 보면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입니다. 그 이후로는거의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당시 외항선 선원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큰돈을 벌 수 있는 직업이었습니다. 또한 여행 자체가 쉽지 않았던 시대에 외국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마도로스는 당시의 사람들에게 최고의 직종이었습니다. 그러나 밀수와 긴밀.. 주제별가요 2021. 8. 18. 더보기 ›› 한국 트로트 가수와 노래 시대별 히트곡 한국 트로트 가수와 노래 시대별 히트곡 이 글은 한국 트로트의 간략한 역사와 가수, 시대별 히트곡을 정리한 곳입니다. 자료가 방대하기 때문에 단 번에 정리하지 못하고 보충 자료가 모아지면 계속하여 수정됨을 알려 드립니다. 1. 용어 현재 트로트의 정식 명칭은 트로트다. 이전에는 트롯, 트롯트, 르토트 등이 사용되었지만 현재 트로트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추세다. 영어로는 Trot 로 표기된다. 어원의 기원은 서양 춤곡인 폭스 트로트(fox trot)에서 왔다. 하지만 한국 대중가요로서의 트로트와 서양 춤곡 트롯과는 거의 상관이 없다. 음악적 기원은 일제 강점기에 유행했던 엥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일종의 뽕짝이다. 2. 트로트의 개략적 역사 트로트의 기원이 된 엥카는 일본인들의 즐겨 부르는 노래형식이다... 시대별노래 2021. 5. 15. 더보기 ›› 부산 관련 노래와 대중가요 부산 관련 노래 오늘은 부산 관련 노래로 정리해 봤습니다. 부산의 역사를 여기사 다 이야기할 수도, 할 필요도 없지만 기본적으로 부산은 지금의 부산과는 개념이 약간 다릅니다. 부산은 조선시대까지 부산진을 말했고, 동래와는 따로 구분되었습니다. 동래는 일제강점기 전까지는 지금의 부산지역을 대표하는 지역이자 용어였습니다. 일제강점기시절을 지나면서 동래는 부산의 일부로 편입되고 부산이란 명칭을 사용하게 됩니다. 부산은 일제강점기 시절 일제에 의해 개발되면서 본격적인 도시로서의 느낌을 갖게 됩니다. 그래서 부산에 관한 노래는 일제강점기 직적부터 시작해 한국전쟁 이후를 정점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났다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가능한 년도별로 정리했지만 그렇지 못한 곡도 있습니다. 년도가 불확실한 곡은 비슷한 년도나 가.. 주제별가요/지역노래 2021. 5. 12. 더보기 ›› 60년대 가수와 대표 히트곡 60년대 가수와 대표 히트곡 1960년대 가수와 히트곡입니다. 육이오 전쟁을 마친지 불과 몇 년도 되지 않았지만 사람들은 노래를 부르며 힘겨운 시간을 보내온 것 같지만 제가 경험하지 못한 시대라 그런지 아련하게 다가옵니다. 순서는 가수-가요로 작성했고 가수 이름을 가다다 순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초중반 시기별로 나누면 좋겠지만 아직 여력이 없어 일단 가수별 가나다순으로만 정리합니다. 시간이되는대로 발표 연대를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1960년대 시대적 배경 60년대 노래를 이해하려면 당시 시대적 배경을 조금 이해할 필요가 있다. 1950년 육이오(한국전쟁)이 일어났고 1953년 휴전 협정이 이루어진다. 이승만 정권 하에서 이 모든 일이 일어난 것이다. 전쟁 후 사람들이 피폐해졌고, 이승만은 정권을 유지하.. 시대별노래 2021. 4. 28. 더보기 ›› 50년대 가수 대표 히트곡 50년대 가수 대표 히트곡 50년대는 한국사에 있어 매우 특별한 시간이었습니다. 해방 후 재건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이념의 갈등, 미국의 통치, 그리고 한국전쟁(육이오)까지 일어나면서 풍비박산이 일어납니다. 1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북한은 전쟁을 일으킴으로 피비린내 나는 동족상잔의 아픔이 시작됩니다. 50년대 가요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전쟁' '이별' '눈물' 등의 단어들이 많이 사용됩니다. 독특하게도 미군의 지배하에 있었던 탓에 이국적인 단어나 노래가 적지 않게 보인다. '아메리카' '차이나타운' '탱고' '엘레지' 등은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고, 이해다 되지 않는 이국적 단어지만 이미 가요를 통해 전파되고 있었던 것이죠. 아래의 노래는 50년대 가장 유명한 노래들입.. 시대별노래 2021. 4. 2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