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26 남인수 생애와 히트곡 남인수 생애와 히트곡 남인수(南仁樹)는 일제강점기 시절에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나 활동했던 대한민국 가수이다. 1918년에 태어났으며 1936년에 데뷔하여 1962년에 사망했다. 남인수는 1918년 10월 18일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는 개가하여 진주 강씨 문중에 들어간다. 본명은 최창수(崔昌洙)였으나 어머니의 재가로 강문수(姜文秀)로 바뀐다. 남인수라는 이름은 후에 작사가였던 강사랑이 지어준 예명이다. 남인수의 어린 시절은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전해지는 설에 의하면 소년 시절 일본 사아타마 현에 건너가 전구 공장에서 일했다고 한다. 보통학교만 졸업했고, 음악에 대한 공부는 전혀하지 않았다. 하지만 남인수는 천성적으로 미성을 가졌고, 음악에 대한 놀라운 감각을 가지.. 음악인 2021. 5. 31. 더보기 ›› 한국 민중가요의 역사 한국 민중가요의 역사 이 글은 정경은의 (서정시학)을 저의 자의대로 간략하게 정리하고, 추가 증보한 것임을 밝힙니다. 구분 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해방 전-1950년대 1960년대-1970년대 1980년-1987년 1988년-현재 개인적으로 저자의 구분 시기가 너무 포괄적이고 모호한 것 같습니다. 일제강점기를 따로 구분하고 차라리 1950년대만을 다루면 좋지 않았나 싶습니다. 제가 가요사에 대해 전문가가가 아니기에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없지만 일제강점기 시절과 해항 후까지 다룬 것은 약간 의아합니다. 하여튼 가요사에 대한 부분에 제가 더 공부해서 정리하기로 하고 저는 이 책의 구분법을 그대로 차용합니다. 1. 해방 전-1950년대 해방을 전후로 하여 새로운 국가 건설의 분위기가 형성됩니다. 하지만 .. 시대별노래 2021. 5. 31. 더보기 ›› 이화자, 화류춘몽의 가수 이화자(李花子) 이화자는 출생과 생애가 그리 명확하지 않은 일제강점기 시절의 화류계 출신의 가수이다. 이화자는 1916년 즈즘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6•25 전쟁이 시작될즘 마약 중독으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출생과 가수 이전의 생애는 전해지는 것이 거의 없다. 13세때부터 술집에서 일을 했다고 한다. 19세 정도인 1935년 김용환에 의해 가수로 전향한다. 전해오는 바로 술집에서 일하던 이화자를 김용환이 찾아가서 이루어졌다고 한다. 당시 가요계의 대부로 불렸던 김용환은 경기도 부평에 노래를 정말 잘한다는 어떤 여성이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흘려들었지만 하도 소문이 무성히 그를 찾아가기로 했다. 당시 가수가 흔하지 않은 시대였기에 한 사람이라도 찾는 것이 그의 일이기도 했다. 그렇게 지인 몇이서 이화.. 음악인 2021. 5. 27. 더보기 ›› 삽살개타령, 가사, 이화자, 1939년 삽살개타령 작가 조명암 작곡 김령(영)파 편곡 손목인 노래 이화자 발표 1939년 형태 SP 이 노래는 1939년 오케레코드에서 발표한 조선악극단 곡들 중의 하나이다. SP로 제작되었으며 앞면에는 이 있고, 뒷면에는 김정구의 이 있다. 일본에서 제작되었다. 이화자 가사 개야 개야 삽살개야 삽살개야 삽살개야 가랑잎만 벗석해도 짖는 개야 청사초롱 불 밝히고 정든 님이 오시거든 개야 개야 삽살개야 개야 개야 삽살개야 이 가이(개) 짖질 마라 개야 개야 검둥개야 검둥개야 검둥개야 독수공방 잠 안 올 때 짖는 개야 백마금편 말을 몰아 정든 님이 오시거든 개야 개야 검둥개야 개야 개야 검둥개야 이 가이(개) 짖질 마라 개야 개야 삽살개야 삽살개야 삽살개야 팔베게로 꿈 꿀때 짖는 개야 산정파한 그리운 님 남 모르게 .. 일정강점기가요 2021. 5. 27. 더보기 ›› 마음의 자물쇠, 장세정, 1939년 마음의 자물쇠 작사 조명암 작곡 손목인 노래 장세정 발표 회사 오케레코드 형태 SP 조선악극단 음반이며 뒷면에 김정구의 가 있다. 당시 자물쇠는 '잠을쇠'로 표기되어 있다. 음원이나 가사가 보이지 않는다. 일정강점기가요 2021. 5. 2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