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6

바로 그 날밤, 신세영, 1955년

바로 그 날밤 작사 유호 작곡 박시춘 노래 신세영 발표 1955년 회사 스타레코드 가사 흰눈이 휘날리는 바로 그날 밤 그대와 나는 촛불을 밝히면서 전선에 가는 짐을 싸고 있을 적에 멀리서 들리는 성당의 종소리 밤하늘 수없이 울렸지 아~ 그 때가 잊지 못할 시절이었네 반달이 서산위에 걸려있던 밤 그대와 나는 화롯불 둘러앉아 청춘일기를 적어보고 있을 적에 눈보라 헤치며 벌판을 달리는 기적도 정답게 울렸지 아~ 그 때가 잊지 못할 시절이었네 50년대가요 2021. 5. 24.

전선소야곡, 이예성, 1954년

전선소야곡(戰線小夜曲) 작사 유호(호동아) 작곡 손목인 노래 이예성 발표 1951(? 1954)년 회사 스타레코드사 SP음반으로 만들어 졌으면 전면에는 박담나의 가 후면에 이예성의 이 들어갔다. 과 다른 다른 곡이다. 자료가 많은 은 자료가 거의 없다. 하단의 링크에 가수 이예성에 대한 자료가 있어 링크한다. 포성도 잠이 들은 도치카 속에서 바라보는 달 그림자 어머님의 얼굴 떠날 때 하신 말씀 떠날 때 하신 말씀 잊을리 있으리까 멸적의 각오 내뿜는 화양 담배 전선 소야곡 [대사: 어머니 오늘 또 하나의 고지를 점령했습니다 이제 총소리 그친 이 전선에는 달빛만이 유난히 밝습니다 어머니 저 달을 마음껏 바라볼 수 있고 달을 보면 아름다운 것을 생각하고 그 달 아래 온 가족들이 모여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 할 .. 50년대가요 2021. 5. 24.

신미래 노래 모음 16곡

신미래 노래 모음 16곡 0:00 앵두나무 처녀 02:07 오빠는 풍각쟁이 04:26 째깍째깍 07:51 체리핑크 맘보 09:58 홍콩 아가씨 12:13 간다고 하지마오 15:32 강남달 19:18 그때 그 사람 22:34 내 이름은 소녀 25:01 미워요 27:38 빗 속의 연인들 30:07 사랑밖에 난 몰라 32:52 사랑이 필요합니다 35:52 소녀의 꿈 38:19 아래향 41:11 아메리카 차이나타운 트톳 전국 체전의 신미래 늴리리 맘보 트롯 전국체전 신미래 매직 유랑단 금사향 이후 홍콩 아가씨를 부르는 가수 중에 최고인듯... 금사향의 홍콩 아가씨, 금사향, 1954년 홍콩 아가씨 작사 손로원 작곡 이재호 노래 금사향 발표 1954년 회사 도메도레코드 금사향의 본명은 최영필이다. 2018년 5월.. 앨범목록 2021. 5. 23.

일제 강점기 영화관과 극단

일제 강점기 영화관과 극단 명치좌(明治座) 명치좌는 일제강점기 시절 한양에 있어서 영화관이자 극장이다. 현재 국립극단의 명동예술극장으로 사용된다. [사진출처 위키백과 명치좌] 희락관(喜樂館) 일제시대 조선 경성부에 있던 상설 영화관이다. 1915년 유락관(有樂館)이란 이름으로 세워졌다. 1918년 희락관으로 개명된다. 1945년 광복 직전에 화재로 소실된다. 대정관(大正館) 목포좌(木浦座) 전남 목포에 있던 영화관 상반좌(常盤座) 전남 목포에 있던 영화관 동양극장 조선인의 가극단이었다. 희락좌 차홍녀가 초기에 입단했던 가극단이다. 청춘좌 동양극장의 전용 가극단. 차홍녀가 를 공연해 유명해진 곳이다. 신무대 황금좌(黃金座) 청춘좌 성군(호화선) 아랑 예원좌 고협 일상정보 2021. 5. 23.

꽃마차, 진방남, 19442년

꽃마차 작사 반야월 작곡 이재호 노래 진방남(반야월의 다른 이름, 반야월의 본명은 박창오) 발표 1942년 이 노래는 원래 서울을 노래한 곡이 아니라 1939년 하얼빈을 노래한 곡이다. 슬프게도 당시 일본이 만주와 중국을 침공할 때로 상당한 경쾌한 분위기를 가졌다. 일본 군국주의적 성향을 다분한 노래다. 해방후 친일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가사를 바꾸었다. 원곡에는 서울이 하루삔으로 되었다. 하지만 엄밀하게 친일가를 아니다. 당시의 상황을 적절하게 섞은 것이다. 다행히 2010년 6월 간단회 자리에서 자신의 친일행적을 사과했다. 그의 나이 93세 때다. 가사 노래-하자 꽃서-울 춤추는 꽃-서-울 아카시-아 숲속으로 꽃마-차는 달려간-다 하늘은 오렌지색 꾸-냥의 귀걸-이-는 한들한들 손풍금 소리 들려온다 방울.. 일정강점기가요 2021. 5.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