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60년대가요71

4.19 행진곡, 가사, 박재홍, 1960

4.19 행진곡 작사 강남풍 작곡 김부해 노래 박재홍.안정해 이 노래는 1960년에 발매된 신신가요앨범 NO.1(국토 건설의 노래)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미얀마 사태를 보니 우리나라의 민주화가 갑자기 찾아온 것이 아님을 다시금 깨닫는다. 가사 1. 학도는 용감하다 거룩한 피를 흘러 민주주의 만방에 헌양 하였제 독재는 물러가라 외치는 고함소리 방방곡곡 천지를 진동하였네 2. 쌓이고 쌓인 울분 드디어 터트렸네 젊은 세대 일꾼은 학도들이다 부정은 물러가라 외치는 고함소리 썩은 잔재 뿌리채 뽑아 버렸네 3. 나가자 씩씩하게 깃발을 휘날리며 민주주의 우방에 함께 뭉치자 폭력은 물러가라 외치는 고함소리 공산당도 뿌리채 뽑아 버리자 학도는 당시 의거를 주동했던 고등학생들을 말한다. 지금의 고등학생들과 비교하면 상상.. 60년대가요 2021. 5. 2.

한많은 북한항, 가사, 원방현, 1960

한많은 북한항 작사 작곡 노래 원방현 발표 1960 이 노래는 자료를 아무리 찾아도 없다. 후에 찾게 되면 추가할 예정이다. 가사 휴전선이 가로막힌 저구름 아래 어머님 불러보는 서글픈 심사 그언제나 그리워라 정든 내고향 육이오때 청진부두 잊지를 마라 눈보라가 몰아치는 선창가에서 원수를 갚아달라 애원을 하며 쓰러져간 고향친구 작별을 하던 육이오때 원산부두 다시 찾는다 설악산을 넘어서서 산기슭 아래 초가집 고생살이 한이 서리고 그언제나 잊지 못할 내 동지들아 육이오 때 흥남부두 피눈물진다 60년대가요 2021. 5. 2.

무정, 가사, 황금심 1960

무정 황금심 1960 반야월이 작사하고 전수린이 곡을 만들었다. 발표연도가 모호한데 아마도 59년에 노래를 만들어 발표하고 음반취입은 60년에 한 것으로 보인다. 가사는 사랑하자던 님과 헤어지고 슬픔을 안고 사는 여인의 한을 노래한다. 그런데 이 님이 과연 남성인지 아니면 사랑하는 가족인지 약간 모호하다. 가사 오락 가락 무심한 쓸쓸한 세상 누굴 믿고 산단 말요 누구를 믿어요 믿지 못할 사람을 믿었던 죄로 병든 가슴 움켜 안고 끝없이 헤매네 울며 울며 흐느끼며 님을 안고서 산을 두고 맺은 언약 연기와 같고나 황금심이 부른 무정이 두 개 인데 하나는 으로 1958년도 발표작으로 다른 곡이다. 보다는 이 더 잘 알려져 있다. 가사 1. 도라지 산도라지 혼자피고 혼자지고 가는세월 오는세월 달빛에 걸어줄까 전생.. 60년대가요 2021. 5. 2.

울리는 경부선, 가사, 남인수, 1960년

울리는 경부선 작사 반야월 작곡 나화랑 노래 남인수 발표 1960년(1958년) 가사 연보라 빛 코스모스 눈물 젖던 플렛트홈 옷소매를 부여잡고 한없이 우는 고운 낭자여 구름 다리 넘어갈 때 기적 소리 목이 메여 잘 있거라 한마디로 떠나가는 삼랑진 달려가는 철로가의 오막살이 양지 쪽에 소꿉장난 하다말고 흔들어 주는 어린 손길이 눈물 삼삼 떠오를 때 내 가슴은 설레이여 손수건을 적시면서 울고 가는 대구정거장 전봇대가 하나하나 지나가고 지나올 때 고향 이별 부모 이별 한정이 없이 서러워져서 불빛 흐린 삼등 찻간 입김 서린 유리창에 고향 이름 적어보는 이별 슬픈 대전정거장 노래해설 분위기나 멜로기가 과 닮아 있다. 이별의 부산 정거장 작곡가는 박시춘이지만 은 나화랑이다. 아마도 당시 작곡법이 모두 닮아 있어서 .. 60년대가요 2021. 4. 30.

농부의 자유천지, 가사, 황국성, 1961년

농부의 자유천지 작사 작곡 노래 황국성 발표 1961년 가사 서울 가면 무엇 하나 벼슬하면 무엇 하나 오막살이 방 한칸에 석유등 밝히고 산나물 저녁 찬에 마주 앉아서 춘향전을 같이 보다 잠이 들면 그만이지 서울 가면 무엇 하나 벼슬하면 무엇 하나 이름 내어 무엇 하나 출세하여 무엇 하나 하루 종일 일을 하며 부모님 모시고 식은땀 벼개머리 등잔불 아래 심청전에 슬피 울다 잠이 들면 그만이지 이름 내어 무엇 하나 출세하여 무엇 하나 작품해설 참으로 참으로 목가적인 노래다. 2021년을 살아가는 나로서는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 곡이다. 1961년에 발표된 이 곡에서 목가적일 이유가 싶을 정도다. 70년대 이후 한국은 근대화의 물결에 의해 시골이 파괴되며 도시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진 시기다. 하지만 1960년대.. 60년대가요 2021.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