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60년대가요71

술전쟁,가사, 김용만-쟈니브라더스

술 전쟁 1967년 야인초 작사, 김종유 작곡하고 김용만과 쟈니브라더스가 부른 노래이다. 재미난 가사와 술을 좋아하는 남성들에게 인기 있는 노래다. 가사 헤어지기 섭섭해 한 잔만 하세 기분이란 도대체 무엇이길래 이차 삼차 월급봉투 다 털어 먹고 얌체에 다음날 회사에 결근 술 술 술이 원수다(맞다) 술 술 술이 원수다(맞어) 술 술 술 전쟁 맞다 맞다 맞았다 술이 웬수다 맞다 맞다 맞았다 술이 웬수다 (하하~ 어허~ 좋아 좋아 어허~ 야 좋아 좋아) 내일부터 금주라 맹서를 하고 내 돈 주고 술 먹고 얻어 먹었다 열두 잔을 다 마시고 한 잔 먹었다 꼬부라지면서 술 안 취했다 술 술 술이 원수다(맞다) 술 술 술이 원수다(맞어) 술 술 술 전쟁 맞다 맞다 맞았다 술이 웬수다 맞다 맞다 맞았다 술이 웬수다 (하.. 60년대가요 2021. 10. 28.

김포가도, 가사, 남해일-남진

김포가도 김포가도는 양화대교에서 김포공항에 이르는 약 7km의 8차선 도로이다. 1967년 남해일이 부르고, 1974년 남진이 불러 대히트를 쳤다. 가사 그렇게도 떠나기를 아쉬워한 사람을 보내고 돌아오는 김포 가도 창밖을 스쳐가는 싸늘한 바람 쌍이고 쌓였던 지난 사연 구름 속에 사라졌네 수많은 별 같은 추억을 안고 쓸쓸하게 돌아오는 밤 깊은 김포 가도 그렇게도 헤어지길 망설이는 사람을 보내고 돌아오는 김포 가도 두 눈에 아롱지는 가버린 얼굴 쌓이고 쌓였던 지난 사연 구름 속에 사라졌네 수많은 별 같은 추억을 안고 쓸쓸하게 돌아오는 밤 깊은 김포 가도 2. 해설 노래는 시대를 반영하는 법이다. 김포공항은 당시 한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었다. 1967년은 새마을 운동이 시작되는 계발 초기의 상황이다. 당시 비.. 60년대가요 2021. 10. 28.

눈물의 구포다리, 가사, 이갑돈

눈물의 구포다리 1967년 발표한 곡으로 탁소연 작사 나화랑 작곡 이화랑 노래한 곡이다. 가사 낙동강 구포다리에서 손수건 적시면서 떠나는 님을 부여잡고 목 놓아 울던 밤아 어기여차 한소리에 노를 저어 노를 저어 돌아오지 못할 길을 어이 가셨나 낙동강 구포다리에서 두 손을 부여잡고 버들이 피면 오신다고 맹서턴 우리 님아 어기여차 한소리에 노를 저어 노를 저어 기다리는 십년세월 허사로구나 해설 구포다리는 부산시 구포와 김해를 잇는 다리로 1932년 준공되었고, 2008년 용도 폐기되어 철거되었다. 구포교는 낙동강에 건설된 최초의 다리로 개통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긴 교량이었다. 다리가 흔하지 않았던 탓에 영도대교와 더불어 부산을 대표하는 다리가 되었다.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다리의 일부가 유실되면서 .. 60년대가요 2021. 10. 28.

포항 소식, 박가연

포항 소식 작사 백설희 작곡 박상무 노래 박가연 발표 1966년 회사 그랜도 레코드사 1. 곡해설 이 노래는 1966년 출시된 에 수록된 곡이다. 백설희,박상무, 이미자 셋이서 함께 컴필레이션 형태로 만들어진 음반이다. 이 앨범에서 이미자의 가 대히트를 치면서 유명세에 오른다. 은 사랑하는 님이 오기를 기다리는 포항 아가씨의 심정을 담아 내고 있다. '석약' '아득한 하늘' 등은 밤이 되었음을 알린다. 그럼에도 님은 오지 않고 물새만이 날아 든다. 뱃고동 소리 따라 지는 석양은 바람 같이 달려가서 붙잡아 볼까 아득한 하늘 아래 수평선 위에 사공님 기다리며 남몰래 울어대는 포항 아가씨 *노을진 모래 위에 덮인 추억은 사랑했던 기슴속의 설움이었나 물새만 날아드는 푸른 창가에 뱃고동 울 때마다 소식을 기다리는.. 60년대가요 2021. 8. 31.

갑돌이와 갑순이, 가사, 사연, 김세레나

갑돌이와 갑순이 작사 김다인 작곡 전기현 노래 김세레나 발표 1965년 1. 곡해설 김세레나에 의해 발표된 시기는 65년이지만 이 노래는 1939년 리갈 레코드에서 이병한과 함석초 부른 에 등장한다. 1930년에 유성기 음반으로 녹음된 것도 있다. 이 노래는 꾸며진 이야기로 보이지만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노래라고 한다. 1930년대 노래에는 '지금부터 60년 전 경기도 여주 땅에..'라는 소개 대사가 나온다. 1870년대 경기도 여주에서 전해오는 이야기를 노래로 만든 것이다. 노래를 보면 갑돌이와 갑순이라 한 마을에 살았는데 사랑하는 사이였다. 하지만 서로의 감정을 누가 먼저 이야기를 하지 못한다. 그런데 이것을 갑순이가 부모의 강요로 먼저 결혼을 하게 된다. 결국 갑돌이도 결혼을 하게 된다. .. 60년대가요 2021. 8. 23.
반응형